😈 알고리즘/🖥️ 프로그래머스
🖥️ 유한소수 판별하기
Buᐢ༝ᐢy
2023. 2. 14. 06:00
문제 설명
소수점 아래 숫자가 계속되지 않고 유한개인 소수를 유한소수라고 합니다. 분수를 소수로 고칠 때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인지 판별하려고 합니다. 유한소수가 되기 위한 분수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, 분모의 소인수가 2와 5만 존재해야 합니다.
두 정수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a/b가 유한소수이면 1을, 무한소수라면 2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a, b는 정수
- 0 < a ≤ 1,000
- 0 < b ≤ 1,000
입출력 예
a b result
7 | 20 | 1 |
11 | 22 | 1 |
12 | 21 | 2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분수 7/20은 기약분수 입니다. 분모 20의 소인수가 2, 5 이기 때문에 유한소수입니다.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.
입출력 예 #2
- 분수 11/22는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1/2 입니다. 분모 2는 소인수가 2 뿐이기 때문에 유한소수 입니다.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.
입출력 예 #3
- 분수 12/21는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4/7 입니다. 분모 7은 소인수가 7 이므로 무한소수입니다. 따라서 2를 return합니다.
Hint
- 분자와 분모의 최대공약수로 약분하면 기약분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정수도 유한소수로 분류합니다.
※ 공지 - 2022년 11월 10일 테스트 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. 기존에 제출한 코드가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
제출 코드
2023년 1월 5일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solution(int a, int b) {
while(1)
{
if(b % 2 == 0)
b /= 2;
else if (b % 5 == 0)
b /= 5;
else
break;
}
return a % b == 0 ? 1 : 2;
}
<aside> ☝ 마지막에 a % b를 한 이유는, 만일 b가 while문에서 유한 소수라면 다 나뉘어져 1만 남았을 거기 때문이다. 유한소수가 아니라면 나머지가 0이 아닌 다른 수가 나오므로 2를 반환하게 된다.
</aside>
위 내용을 예시 1로 들어본다면, 이미 while문을 돌았을 때 b는 2 * 2 * 5이기 때문에 모든게 다 나뉘어 1이 된다. 그 상태로 7 % 1 == 0 이 되어 1을 반환하게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