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uᐢ༝ᐢy 2023. 3. 4. 18:00

코딩테스트 연습 - 평행

문제 설명


점 네 개의 좌표를 담은 이차원 배열  dots가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

  • [[x1, y1], [x2, y2], [x3, y3], [x4, y4]]

주어진 네 개의 점을 두 개씩 이었을 때, 두 직선이 평행이 되는 경우가 있으면 1을 없으면 0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

제한사항


  • dots의 길이 = 4
  • dots의 원소는 [x, y] 형태이며 x, y는 정수입니다.
    • 0 ≤ x, y ≤ 100
  •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점이 겹치는 경우는 없습니다.
  • 두 직선이 겹치는 경우(일치하는 경우)에도 1을 return 해주세요.
  • 임의의 두 점을 이은 직선이 x축 또는 y축과 평행한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.

입출력 예


dots result

[[1, 4], [9, 2], [3, 8], [11, 6]] 1
[[3, 5], [4, 1], [2, 4], [5, 10]] 0

입출력 예 설명


입출력 예 #1

  • 점 [1, 4], [3, 8]을 잇고 [9, 2], [11, 6]를 이으면 두 선분은 평행합니다.

입출력 예 #2

  • 점을 어떻게 연결해도 평행하지 않습니다.

※ 공지 - 2022년 9월 30일 제한 사항 및 테스트케이스가 수정되었습니다.

※ 공지 - 2022년 10월 27일 제한 사항 및 테스트케이스가 수정되었습니다.

제출 코드


2023년 2월 3일
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
using namespace std;

int solution(vector<vector<int>> dots) {
    int answer = 0;
    int length = dots.size();
    vector<double> resultV;

    for(int i = 0; i < length; i++)
    {
        for(int j = i + 1; j < length; j++)
        {
            auto result = (double(abs(dots[i][1] - dots[j][1])) / abs(dots[i][0] - dots[j][0]));
            
            if(find(resultV.begin(),resultV.end(), result) != resultV.end())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answer = 1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
                resultV.push_back(result);
        }
    }
    
    return answer;
}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cmath>
using namespace std;

int solution(vector<vector<int>> d) {
    if(double(double(d[3][1] - d[0][1]) / double(d[3][0] - d[0][0]))
       == double(double(d[2][1] - d[1][1]) / double(d[2][0] - d[1][0]))
      || double(double(d[2][1] - d[0][1]) / double(d[2][0] - d[0][0]))
       == double(double(d[3][1] - d[1][1]) / double(d[3][0] - d[1][0]))
      || double(double(d[1][1] - d[0][1]) / double(d[1][0] - d[0][0]))
       == double(double(d[2][1] - d[3][1]) / double(d[2][0] - d[3][0]))) 
		return 1;

    return 0;
}

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코드인데 이렇게 하고 싶었다…

using namespace std;

int solution(vector<vector<int>> dots) {
    int answer = 0;
    vector<pair<int,int>> compare;
    
    // 1
    compare.push_back(make_pair(abs(dots[0][1])-dots[1][1])/ abs(dots[0][0] - dots[1][0]), abs(dots[2][1])-dots[3][1])/abs(dots[2][0] - dots[3][0]));

    // 2
    compare.push_back(make_pair(abs(dots[0][0] - dots[2][0]), abs(dots[0][1])-dots[2][1]));
    compare.push_back(make_pair(abs(dots[1][0] - dots[3][0]), abs(dots[1][1])-dots[3][1]));
    // 3
    compare.push_back(make_pair(abs(dots[0][0] - dots[3][0]), abs(dots[0][1])-dots[3][1]));
    compare.push_back(make_pair(abs(dots[1][0] - dots[2][0]), abs(dots[1][1])-dots[2][1]));
    
    for(int i = 0; i < 3; i++)
    {
        for(int j = i * 2; j < 2; j++)
        {
            if(compare[j].first == compare)
        }
    }
    
    return answer;
}

대충 이런 식으로 적었다가 식을 어떻게 정리할까 해서 제출한 코드가 나왔다. 위 코드는 적다가 말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