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문제 설명
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numbers의 원소 중 두 개를 곱해 만들 수 있는 최댓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0,000 ≤ numbers의 원소 ≤ 10,000
- 2 ≤ numbers 의 길이 ≤ 100
입출력 예
numbers result
[1, 2, -3, 4, -5] | 15 |
[0, -31, 24, 10, 1, 9] | 240 |
[10, 20, 30, 5, 5, 20, 5] | 600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-3 * -5 = 15 입니다.
입출력 예 #2
- 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10 * 24 = 240 입니다.
입출력 예 #3
- 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20 * 30 = 600 입니다.
제출 코드
2022년 12월 10일
#include <string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solution(vector<int> numbers) {
int length = numbers.size();
sort(numbers.begin(), numbers.end());
return max(numbers[length - 1] * numbers[length - 2], numbers[0] * numbers[1]);
}
<aside> ☝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정렬한 후에 각 끝과 다음 끝을 곱해주고, 그 중에서 가장 큰 수를 반환하면 된다.
</aside>
입출력 예시 1과 2를 보도록 하자.
- 정렬한다.
- 예시 1 : 1, 2, -3, 4, -5 → -5, -3, 1, 2, 4
- 예시 2 : 0, -31, 24, 10, 1, 9 → -31, 0, 1, 9, 10, 24
- 각 끝의 두 원소를 곱한 것 중 가장 큰 값을 반환한다.
- 예시 1 : -5 * -3 vs 4 * 2 = 15 vs 8 → 15 반환
- 예시 2 : -31 * 0 vs 24 * 10 = 0 vs 240 → 240 반환
절대값으로 고쳐서 풀면 예제 2번의 경우 -31 * 24가 되기 때문에 제일 작은 수가 반환된다. 음수 역시 절대적으로 수를 가지고 있는 건 맞으나 위 이야기처럼 음수를 없애줄 다른 음수가 없으면 소용이 없다.
'😈 알고리즘 > 🖥️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🖥️ 문자열 정렬하기 (2) (0) | 2023.01.18 |
---|---|
🖥️ 숫자 찾기 (0) | 2023.01.17 |
🖥️ 합성수 찾기 (0) | 2023.01.15 |
🖥️ 인덱스 바꾸기 (1) | 2023.01.14 |
🖥️ 피자 나눠 먹기(2) (0) | 2023.01.13 |
댓글